육아휴직 중단하고 복직하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

직장 여성이 컴퓨터를 보며 웃고 있고, 뒤로 아이의 모습이 흐릿하게 보이는 육아휴직 및 복직 관련 이미지

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개편되며 육아휴직 중단 후 복직해도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이 다양해졌습니다. 특히 중소기업 재직자는 복직 장려금까지 받을 수 있어 꼭 확인해야 하는데요. 오늘은 육아휴직 중단후 복직 시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을 알려드립니다.



육아휴직 급여, 중단해도 받을 수 있을까?

육아휴직 중간에 복직하더라도, 사용한 기간만큼 육아휴직 급여는 전액 지급됩니다.
※ 2025년부터는 매달 지급 방식으로 바뀌어 사후정산도 없습니다.

  • 1~3개월: 통상임금 100%, 최대 월 250만 원
  • 4~6개월: 통상임금 100%, 최대 월 200만 원
  • 7개월 이상: 통상임금 80%, 최대 월 160만 원

단, 중단 시점에 고용센터에 종료 신고를 해야 하며, 해당 월까지 지급됩니다.



복직하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?

① 복직 장려금 (중소기업 대상)

복직 후 동일 사업장에 6개월 이상 근무하면 총 3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025년부터는 150만원 선지급 + 150만원 복직 후 지급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.

② 단축근무 전환 시 급여

복직 후 단축근로 제도를 신청하면 월 최대 55만 원을 별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자녀 나이: 만 12세 이하
  • 단축 가능 기간: 최대 3년
  • 단축 범위: 주 10시간 이상 단축


2025년부터 달라진 육아휴직 제도

  • 육아휴직 기간: 1인당 최대 1.5년
  • 부부 동시 사용: 최대 3년
  • 분할 사용: 최대 4회 가능

즉, 중단 후 복직해도 남은 기간을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정리 요약

항목 지원 가능 여부 조건
육아휴직 급여 ✔ 지급 사용한 기간만큼 지급
복직 장려금 ✔ 지급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
단축근로 급여 ✔ 가능 복직 후 단축근무 신청
남은 육아휴직 재사용 ✔ 가능 최대 1.5년 / 분할 4회까지


맺음말

육아휴직을 중단하고 복직하더라도 실사용 기간에 따른 급여는 받을 수 있고, 복직 장려금이나 단축근로 급여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. 분할 사용 및 제도 확장도 가능하니 꼭 챙기세요!




함께 보면 좋은 글

댓글 쓰기
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