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민생회복쿠폰 사용을 상징하는 지갑과 카드, 동전 이미지 |
7월21일부터 본격 시작되는 2025 민생회복쿠폰 신청기간입니다.! 신청 요일별 대상과 날짜, 그리고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까지 정리해드릴게요. 요즘 미용실에서도 정액권 끊으라고 문자 많이 오던데, 정말 가능한지까지 알려드립니다.
신청 날짜 및 요일별 대상
민생회복쿠폰은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요일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 본인의 끝자리를 아래 일정에 맞춰 확인하세요.
- 7월 21일(월): 출생연도 끝자리 1, 6
- 7월 22일(화): 끝자리 2, 7
- 7월 23일(수): 끝자리 3, 8
- 7월 24일(목): 끝자리 4, 9
- 7월 25일(금): 끝자리 5, 0
- 7월 26~27일(토·일): 전 연령 모두 신청 가능
예: 1994년생이면 7월 24일(목)에 신청 가능하며, 평일을 놓쳤다면 주말에도
신청할 수 있습니다.
(단, 온라인은 주말에도 신청 가능하고, 오프라인은
주말에는 불가능해요!)
신청 방법 (카드사 · 간편앱 · 오프라인)
민생회복쿠폰은 본인 명의의 카드사 또는 간편결제 앱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. 일부 지역은 오프라인 신청도 병행될 수 있습니다.
① 카드사별 신청
아래 카드사 중 본인 명의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신청하세요. 포인트 형태로 지급되며, 신청 당일 또는 익일 지급됩니다.
※ 카드사별로 지급 금액이나 혜택에는 차이가 없으며,
본인이 평소 사용하는 카드사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. 신청한
카드에 포인트가 적립되고, 등록된 회복쿠폰 가맹점에서 자동 차감되는
방식입니다.
- KB국민카드
- 신한카드
- 삼성카드
- 현대카드
- 롯데카드
- 우리카드
- 하나카드
- 비씨카드
- NH농협카드
※ 본인 명의 카드로만 신청 가능하며, 법인·가족카드는 불가합니다.
② 토스 앱 신청
최근에는 토스 앱에서도 민생회복쿠폰 신청 메뉴가 열렸습니다. 로그인 후
'정부지원금' 메뉴에서 본인 인증을 거쳐 신청하면 됩니다.
③ 오프라인 신청
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는 오프라인 창구가 열릴 수 있습니다. 지자체별 운영 여부는 사전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.
④ 미성년자(10대) 자녀 신청
2007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미성년자는 세대주(보통 부모)의 명의로 신청해야 합니다. 본인 단독 신청은 불가능하며, 아래 방식 중 하나로 진행합니다.
- 온라인: 부모 명의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신청 → 자녀도 간접 수령 가능
- 오프라인: 주민센터에서 세대주가 대리 신청 가능 (신분증, 위임장 필요)
※ 신청 요일은 부모(세대주)의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릅니다. 자녀 기준이 아니니 주의하세요.
※ 자녀가 받을 쿠폰은 부모 명의 카드나 선불카드 등으로 지급되며, 지역 가맹점에서 동일하게 사용 가능합니다.
사용 가능한 업종
![]() |
민생회복쿠폰 사용처를 지도로 찾는 모습 |
민생회복쿠폰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대부분의 우리 동네 상점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. 실제 미용실,헬스장 같은곳에서는 이미 알림,광고문자가 많이 오고 있습니다.
음식점 · 카페
일반 식당, 동네 밥집, 분식점, 프랜차이즈 가맹 매장 등 가맹점 등록된 곳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미용실 · 네일숍
요즘 미용실에서는 정액권 구매 시 회복쿠폰 사용을 적극 유도하고 있습니다. 컷, 펌, 염색 등 정기적인 시술을 정액권으로 결제하면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.
전통시장 · 소상공인 매장
떡집, 반찬가게, 생필품점, 옷가게, 수산물상 등 전통시장 내 대부분 점포에서 사용 가능하며, 골목상권 가맹 소매점도 다수 포함됩니다.
숙박업소
중소형 모텔, 게스트하우스, 한옥스테이 등 등록 숙박업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문화 · 체육시설
영화관, 공연장, 필라테스, 헬스장, 수영장, 요가 스튜디오 등 지역 문화·체육시설 대부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기타 사용 가능 업종
- 안경점
- 세탁소
- 꽃집
- 학원(일부)
- 동물병원
사용 불가 업종: 대형마트, 기업형 슈퍼마켓, 백화점, 면세점, 대형 외국계 매장(애플,이케아),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(하이마트,전자랜드), 온라인 전자상거래(쿠팡,쇼핑몰,배달앱), 조세/공공요금,교통/통신요금 자동이체)
미용실 정액권, 어떻게 활용할까?
정기적으로 미용실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정액권 구매 시 회복쿠폰을 사용하는 방식이 경제적입니다.
예: 10회 커트 정액권 20만 원 → 회복쿠폰 10만 원 + 본인 부담 10만 원
사용 전, 해당 미용실이 회복쿠폰 사용 가맹점인지 꼭 확인하세요.
맺음말
![]() |
회복쿠폰을 활용한 계산대 결제 순간 |
이번 민생회복쿠폰은 단순한 소비 혜택을 넘어, 지역경제를 살리고 실생활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신청 요일만 잘 챙기시고, 본인이 자주 가는 곳에서 알차게 활용해보세요. 특히 미용실이나 전통시장처럼 실질적인 소비처를 중심으로 계획하시면 더욱 만족스러운 결과가 될 거예요.
0 댓글
💬 질문은 환영! 욕설,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.